iOS24 User defaults 로컬 데이터 저장 앱의 로컬 저장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은 User defaults 말고도 Core Data, Realm 등이 있습니다. 대용량의 데이터와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Core Data와 같은 저장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저장할 데이터의 양이 적고 앱의 설정과 같은 간단한 저장을 원하는 경우에는 User defaults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User defaults는 저장할 정보를 기기의 PList 파일에 저장시키기 떄문에 보안이 취약할 여지가 있어 중요한 정보들은 저장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User defaults를 사용해 봅시다. User defult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UIKit을 import 시켜줘야 합니다. import U.. 2023. 8. 4. Swift 참조 해제 확인하는 방법 Swift에서 객체가 초기화 되고 사용이 다한 객체는 Deeinialization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객체가 강한 참조상태가 되면 계속 메모리를 가지고 놓아주질 않습니다. 객체가 초기화 해제가 됐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클래스를 생성할때 init() {} init 메소드를 통해서 초기화 해주었던 것 처럼 deinit {} deinit 메소드를 통해서 해당 객체가 모든 참조를 없앴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소드 안에 print 문을 통해서 강한 참조가 일어 났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 일 것 같습니다. 2023. 3. 21. swift 메모리 주소 출력문 print(Unmanaged.passUnretained(주소를 알고싶은 변수!).toOpaque()) 이렇게 print 문을 작성하면 해당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볼 수 있다. 참조관련하여 디버깅할 때 도움이 될거 같다. 2023. 3. 21.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