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데이터 저장
앱의 로컬 저장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은 User defaults 말고도 Core Data, Realm 등이 있습니다.
대용량의 데이터와 복잡한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Core Data와 같은 저장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저장할 데이터의 양이 적고 앱의 설정과 같은 간단한 저장을 원하는 경우에는 User defaults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User defaults는 저장할 정보를 기기의 PList 파일에 저장시키기 떄문에 보안이 취약할 여지가 있어 중요한 정보들은 저장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User defaults를 사용해 봅시다.
User defult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UIKit을 import 시켜줘야 합니다.
import UIKit
// user defaults 싱글톤 객체 생성
let defaults = UserDefaults.standard
// Key-Value 형태로 데이터 저장
defaults.set(0.8, forKey: "Light")
defaults.set(Date(), forKey: "LastOpenApp")
let array = [1, 2, 3]
defaults.set(array, forKey: "UserArray")
// 데아터 불러오기
let light = defaults.float(forKey: "Light")
let lastOpne = defaults.object(forKey: "LastOpenApp")
let userArray = defaults.array(forKey: "UserArray") as! [Int]
'iOS > UIK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pKit을 구현해보자! - 2 (0) | 2022.07.20 |
---|---|
MapKit을 구현해 보자 (0) | 2022.07.20 |
Collection View를 만들어보자! (0) | 2022.07.16 |
테이블 뷰 (0) | 2022.07.11 |
스크롤 뷰 (0) | 2022.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