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하던 도중 다른 브랜치로 넘어가야 할 일이 생겼을때, 하지만 아직 완료되지 않아 커밋하기는 껄끄러울 때 사용합니다.
git stash
stash 명령어를 사용하면 수정 중이던 파일과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을 스택에 올려 다시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stash는 기본적으로 추적 중인 파일만 저장합니다.
git stash list
list 를 붙이면 현재 저장된 stash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stash apply
apply 를 입력하면 저장된 stash를 다시 적용할 수 있습니다.
git stash apply --index
--index 옵션을 사용하면 바로 인덱스로 올릴 수 있습니다.
꼭 진행하던 브랜치에서 stash를 가져올 수만 있는게 아닌, 다른 브랜치에도 stash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만약 저장했던 stash를 사용할 일이 없어지면
git stash drop 스태쉬명
drop 명령어를 추가하여 해당 stash를 사라지게 합니다.
stash를 적용함과 동시에 삭제하고 싶다면
git stash pop 스태쉬명
이렇게 pop 명령어를 이용하면 stash가 적용되면서 바로 삭제 됩니다.
모든 stash를 삭제하고 싶다면
git stash clear
clear 명령어를 추가하여 모든 stash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pull과 Fetch (0) | 2022.05.02 |
---|---|
Git tag (0) | 2022.05.02 |
Git checkout (0) | 2022.05.01 |
Git Rm (0) | 2022.05.01 |
Git Reset 과 Revert (0) | 2022.05.01 |